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에 대해 소개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자신의 꿈과 목표를 이루는데 나라에서 지원하는 특별한 계좌입니다.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경우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고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정부에서 기여금을 지원하며 청년도약계좌의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어 청년들이 목돈을 모으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적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된 청년지원제도로 매월 40만원~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정부에서 납입액에 따라 기여금을 추가하여 만기시 최대 5000만원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은 2023년 6월 중 신청 접수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접수 전에 미리 알아두시면 청년도약계좌 신청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만 19~34세 청년 입니다. 남성들의 경우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합니다.
개인소득 6000~7500만원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도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가능하지만 정부 기여금 지급 없이 은행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납부 금액과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과 납부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다릅니다. 개인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 한도와 매칭 비율을 미리 확인하시면 가입하시는데 도움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연계 지원
청년도약계좌는 저소득층 청년 지원을 위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과 동시 가입을 허용합니다. 다만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는 동시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셨다면 청년희망적금이 만기시까지 기다리거나 중도 해지 후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 이후에도 자산형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청책상품 이용시 우대금리 제공, 납입내역 개인신용평가 가점 반영, 금융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같은 지원을 합니다.
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을 만들기에 좋은 상품입니다. 하지만 청년도약계좌를 5년동안 해지 없이 완납할수 있는지 생각해보고 가입하는것이 좋습니다. 중도 해지할 경우 청년도약계좌 혜택을 제대로 못받고 오히려 감면받은 세금 혜택을 다시 추징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때 신중하게 5년동안 납부할수 있는지 잘 생각해보고 가입하는것이 좋습니다.